[Lecture]연결이 지배하는 세상에서 미디어란 무엇인가? (Redefining Media in a Connected World)

최근 2-3개월간 집중적으로 미디어 산업(전통적 의미의 미디어 산업)과 연결된 사람들을 만나게 되었다. 모바일 실시간 방송, 스타트업, 통신사업자, 광고 회사, 제작사 등이다. 서로 만난적이 없는 회사들인데도 머리속에서는 스토리가 하나로 연결되었다. 왜일까? Continue reading

종이책 ‘오가닉 미디어’의 3월 북포럼(날PD) 현장 기록

3월 26일 저녁 강남구 신사동. [오가닉 미디어]의 종이책 출간 한달, 첫 오프라인 이벤트를 날(Knol)PD님의 ‘북포럼(Book Forum)‘과 함께 했다. 나눔의 즐거움이 생생한 시간. 벌써 7년째 ‘살아서’ 이어져온 북포럼의 역사를 한눈에 보는 듯했다.

2014년 3월 26일 '오가닉 미디어: 연결이 지배하는 미디어 세상' 북포럼을 마치고 참여하신 분들과 인증샷

2014년 3월 26일 ‘오가닉 미디어: 연결이 지배하는 미디어 세상’ 북포럼을 마치고 참여하신 분들과 인증샷

Continue reading

오가닉 미디어가 종이책으로 태어났습니다!

오가닉 미디어가 종이책으로 태어났습니다!

블로그에 소개한 글들이 씨앗이 되어 오가닉 미디어가 종이책으로 태어났습니다. 그동안 글을 읽어주시고 피드백을 주신 여러분들이 함께 만들어주신 책입니다.

윤지영, 오가닉 미디어(Organic Media): 연결이 지배하는 미디어 세상, 21세기북스, 2014년 2월21일. Continue reading

콘텐츠란 무엇인가? (What is Content?)

<이전 포스트: 네트워크의 이중성>

인터넷 공간은 정보재(information goods)로 이뤄진 공간이다. 그런데 정보는 공짜가 되가고 있다. 이제 모든 인터넷 비즈니스는 공짜를 기반으로 하지 않으면 살아남기 어렵게 되었다. 직격타를 입은 것은 콘텐츠 비즈니스다. 일반적으로 유료 콘텐츠를 기반으로 돈을 벌어 온 신문, 음악, 출판, 영화, 방송 등이다. 미리 알았어도 스스로 비즈니스 모델 자체를 부정해야 하니 수긍하기 어렵고 인정하더라도 콘텐츠를 공짜로 뿌릴 바에야 버티는 것이 낫다는 판단을 할 수밖에 없다. 인터넷 시장의 가치는 커져만 가는데 콘텐츠 비즈니스는 설 자리도 없다는 말인가?

필자는 ‘책의 종말인가, 진화인가‘라는 글에서 책의 진화방향과 우리의 고정관념간의 간극이 얼마나 큰지 언급했다. 여기서 책을 새롭게 정의하지 못하면 책은 사라질 것임을 논의한 바 있다. 오늘은 콘텐츠의 생산, 유통, 소비의 변화에서 콘텐츠에 대한 새로운 정의가 불가피함을 밝히고 콘텐츠 비즈니스의 새로운 기회를 발견하는 시간을 갖고자 한다. Continue reading

컨텍스트에 답이 있다 (Context has the Answer)

<추천 포스트: 컨텍스트의 4요소(4 elements of contexts)>

주변에 ‘눈치 없는’ 사람들이 꼭 있다. 상황 파악이 안되서 대화 흐름을 끊고 어색하게 만들기도 하고 악의는 없는데 안할 말을 해서 눈총을 받기도 한다. 오가닉 미디어에도 이런 경우가 자주 있다. 컨텍스트를 무시하고 콘텐츠만 들이대는 경우, 사용자가 원치 않는 광고를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들이대는 경우들이다. 그런데 본인들은 그게 눈치없는 행위인지도 모른다. 알면서도 그러고 있다면 더욱 문제다. 사용자를 난처한 상황에 빠뜨릴 의도가 있었다는 것 아닌가.

이번 포스트에서는 미디어의 3가지 구성요소 중 ‘컨텍스트’에 집중하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다. 컨텍스트란 무엇인가? 모두들 중요하다고 하는데, 왠지 알 것 같지만 모호하고 정확히 정의하기 어려운 주제다. 이 글에서는 미디어의, 콘텐츠의, 소셜 네트워크의 생명을 연장하고 진화를 이끌어내는 주인공 관점에서 컨텍스트를 살펴보고 역할을 정확히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Continue reading

컨테이너의 숨겨진 쟁점의 이해 (Understanding Containers in Organic Media)

<이전 포스트: 미디어의 3가지 구성요소>

앞에서 미디어의 3가지 구성요소를 정의하고 각각의 요소들이 인터넷 환경에서 어떻게 서로 상호작용하고 진화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번 포스트와 다음 포스트에서는 ‘컨테이너’ 요소를 구체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미디어에서 컨테이너의 쟁점은 무엇이고 앞으로는 어떻게 진화할 것인지 살펴보고 현재 인터넷 기반에서 벌어지고 있는 ‘컨테이너의 해체 현상과 그 결과’가 미디어를 어떻게 새롭게 형성시키고 있는지 논의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 포스트에서는 먼저 그 쟁점을 정확히 이해하는 데에 집중하도록 하자.

물리적 컨테이너에서 벗어나는 것은 ‘깨어남’과도 같다

우리는 미디어의 컨테이너를 통상적으로 책, 텔레비전, 라디오 등 물리적 틀걸이로만 인지해왔다. 하지만 컨테이너에는 숨겨진 쟁점이 있다. 철학자이자 과학기술자(technologist) 인 데이빗 와인버거(David Weinberger)는 2012년 자신의 저서에서 컨테이너의 형태가 우리의 사고와 지식을 규정하고 가두어 왔음을 밝힌 바 있다(David Weinberger, Too big to know, 2012.). 예를 들면 ‘책의 형태에 기반한 사고 (book-shaped thoughts)’는 평면적이고 획일적이며 순차적(sequential)이어서 이러한 책을 통해 습득된 우리의 지식은 그동안 이 인쇄 미디어의 물리적 형태(form)와 그 특성 속에 가두어져 있었다는 것이다.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