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경제의 3가지 측면(3 Dimensions of Smart Economy)

<이전 포스트:  연결된 시장과 스마트 경제(Connected Marketplace & Smart Economy)>

지난 포스트에서는 연결된 시장의 개념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스마트 경제의 3가지 측면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한다.  이 포스트의 결론을 아주 단순하게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우리가 알고 있는 공간의 개념은 물리적 공간에서 출발했다. 지금까지 알고 있는 공간의 개념을 버려라.
  2. 정보재의 가격은 0이다.  이보다 더 많이 받기 위해서는 무엇인가 특별한 것이 필요하다.
  3. 지금까지 우리는 노드를 중심으로 사고해 왔다. 하지만 앞으로는 링크(연결)를 중심으로 생각해야 한다.

스마트 경제는 공간 경제(Space Economy), 정보 경제(Information Economy), 네트워크 경제(Network Economy)의 3가지 관점으로 Continue reading

연결된 시장과 스마트 경제(Connected Marketplace & Smart Economy)

<이전 포스트: 오가닉미디어와 새로운 실험>
인터넷이 가져온 변화를 이해하기 위한 첫번째 단계는 경제시스템이 어떻게 달라졌고 달라질 것인지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이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경제시스템의 근간이 되는 시장의 변화에 대해 다뤄보고자 한다.

스마트 경제란 컴퓨터, 인터넷 등 디지털 기술을 기반으로 재화의 생산, 소비, 유통 등 경제활동의 방식이 근본적으로 변화된 경제시스템을 일컫는다.

스마트 경제를 이해하기 위해 우선 디지털 기술에 의해 형성된 새로운 시장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디지털 기술은  기업이 활동하는 새로운 시장을 창조하였고, 이 시장은 기업이 활동해 온 기존의 시장과는  여러 측면에서 커다란 차이가 있다. 여기에서는 새롭게 형성된 시장을 ‘연결된 시장(Connected Marketplace)’이라 일컫고 이와 대비하여 기존의 물리적 공간에 기반한 시장을 물리적 시장(Physical Marketplace)이라 일컫도록 하겠다. 이번 장에서는 아마존(http://amazon.com)을 예로 연결된 시장이 물리적 시장과 비교하여 어떠한 점에서 차이가 나며 어떠한 특성을 지니고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고 이러한 연결된 시장의 형성에 따라 어떻게 경제시스템이 변화하고 있는지 살펴보도록 하겠다.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