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20일(목)Tasting Class] 테슬라의 모든 것 (Everything about Tesla)

4월의 주제는 ‘테슬라’입니다. 오가닉미디어랩의 여러 글이 테슬라를 다뤄왔는데요, ‘네트워크가 제품’임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이기 때문입니다. 이번 수업에서는 테슬라의 네트워크 구조, 작동 원리와 메커니즘을 총체적으로 이해하고 자신의 비즈니스에 적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테슬라의 전기충전소 네트워크(Supercharger Network)는 전기차와 충전소가 양면 네트워크임을, 플리트 러닝 네트워크(Fleet Learning Network)는 테슬라가 전기차를 만드는 회사가 아니라 전기차의 네트워크를 만드는 회사임 알려줍니다. 그밖에도 고객 추천 인센티브 프로그램(Referral Program) 등은 고객이 영업사원임을,  나아가 Tesla Network(자율 주행 테슬라로 이루어질 ‘우버’와 같은 서비스) 등은 테슬라의 미래를 네트워크 관점에서 극명하게 보여줍니다.

지금까지 저희가 다양한 주제에서 사례로 등장했던 테슬라의 비즈니스 메커니즘을 하나로 엮는 시간, 유기체로서의 테슬라를 파헤치는 시간이 될 것입니다. 많은 분들의 참여 부탁드립니다. Continue reading

아마존의 네트워크 효과: 아마존은 어떻게 악순환을 끊고 선순환을 극대화시켰는가? (Network Effects of Amazon)

아마존의 네트워크 효과: 아마존은 어떻게 악순환을 끊고 선순환을 극대화시켰는가? (Network Effects of Amazon)

<추천 포스트: 경험이 광고다: “아뇨, 우버를 불렀어요”>

지난 글에서는 네트워크 효과의 기본 개념을 살펴보고 네트워크 효과를 일으키기 위해서는 왜 노드가 아닌 링크에 집중해야 하는지 알아보았다. 그럼 네트워크 효과는 실제 비즈니스에서 구체적으로 어떻게 나타나는가? 막연히 많은 숫자가 더 많은 숫자를 낳는 것이 네트워크 효과인가? 또한 네트워크 효과는 무조건 비즈니스에 긍정적인가? 이번 글에서는 상거래 서비스를 중심으로 네트워크 효과가 일어나는 메커니즘에 대해 자세히 살펴본다. 특히 아마존 사례를 통해 네트워크 효과의 선순환, 악순환 구조를 이해하고 아마존은 어떤 전략으로 선순환은 극대화하고 악순환의 고리는 끊을 수 있었는지 파악해본다. 네트워크 효과는 아마존의 지속적 성장의 원동력이다.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