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디까지 보여줄 것인가?’ (Traceability, Visibility, Privacy and Transparency)

<이전 포스트: ‘청중’이 ‘나’를 정의한다>

검색되지 않는 것은 존재하지 않는 세상이다[Steven Levy, In the Plex, Simon & Schuster, 2011]. 우리는 스스로를 기꺼이 공개한다. 페이스북, 트위터, 링크드인, 블로그를 통해 친구는 누구이고 직업은 무엇인지, 무슨 생각을 하는지, 무엇을 먹고 마시는지도 공개한다. 사회적으로 존재하고 싶은 나는 더 많이 보여지기(visibility)를 그래서 존재하기를 원한다. 반면 이로 인해 SNS에서 피로도를 호소하는 사람은 늘어나고 더욱 프라이버시를 외치고 있다. 진퇴양난이다. 어디까지 보여줄 것인가?

이번 포스트의 주제는 투명성(transparency)이다. 투명성의 문제를 첫째 추적 가능성(traceability), 둘째 가시성(visibility), 세째 프라이버시(privacy) 문제로 나누어 정리할 것이다. 이 과정을 통해 세상이 왜 투명해질 수밖에 없는지, 투명성이 제기하는 진짜 이슈가 무엇인지 논의될 것이다. 결론에서는 투명성을 강요받는 사회에서 어떻게 대처할 것인지 해법을 공유하도록 하겠다. Continue reading

사적영역과 공적영역의 ‘소셜게임’ (Social play between private and public space)

<관련 포스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와 ‘나’의 정체성>

우리 안에는 공적인 ‘나’와 사적인 ‘나’가 공존한다. 사회적으로 참여하고 타인으로부터 인정받고 싶은 ‘나’와 은밀한 개인 공간에서 아늑한 생활을 하고 싶은 사적인 ‘나’이다. 일과 가정에도 균형이 필요하다. 한 쪽이 부족하면 결핍을 느낀다. 이 균형이 성립되기 위해서 필요한 것이 공적 공간과 사적 공간이다. 두 영역은 계속 진화해왔지만 지금 소셜미디어에서는 그 변화가 매우 드라마틱한 방식으로 일어나고 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두 영역의 특성과 변화를 살펴본 후 새로운 현상을 어떻게 읽고 대응해야 할지 ‘사용자 정체성’ 관점에서 논의하도록 하겠다.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