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21일(목) Cooking Class] 인터페이스 설계 (Interface Design)

6월 쿠킹클래스의 주제는 ‘인터페이스 설계’입니다. 먼저 지난 수업에서는 네트워크 관점에서 인터페이스의 개념을 다뤘습니다. 특히 정보, 행위, 기억으로 구성된 인터페이스를 분석하고 어떻게 MVN 즉 네트워크 구조와 연결될 수 있는지 살펴봤습니다. 이번 수업은 그 다음 단계입니다. 구체적인 인터페이스의 설계 프로세스와 방법론을 살펴봅니다.

고객의 행동이 주체가 되는 UI 설계란 어떤 것일까요? UI는 단순히 눈에 보이는 디자인이 아니지요. 네트워크 구조와 고객 행동 설계, 데이터 베이스 설계 등은 서로 뗄려야 뗄 수 없는 관계에 있습니다. 살아있는 인터페이스의 설계가 살아있는 네트워크를 만듭니다. 그 방법론을 함께 공부하고 실제 진행되고 있는 적용 사례를 공유합니다.

인터페이스는 미디어의 3C 중 컨테이너 즉 연결의 구조와 컨텍스트 즉 연결의 환경의 교집합으로 나타난다.

Continue reading

인터페이스 해부하기: 3C의 선순환 (3C of Interface)

인터페이스 해부하기: 3C의 선순환 (3C of Interface)

<추천 글: 인터페이스란 무엇인가: 키보드에서 알렉사까지>

연결이 지배하는 세상에서 미디어는 우리 자신이다. 우리가 만드는 연결이 네트워크가 되고 이 네트워크가 다시 우리 자신을 정의한다. 매 순간 찾고 보고 대화하고 듣고 만들고 구경하고 즐기고 중계하고 구매하면서 만드는 연결은 끝이 없다. 이 일상의 기록 즉 연결의 기록은 네트워크를 매 순간 역동적으로 변화하는 유기체로 만든다. 이것이 우리가 지배하는 미디어 세상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어떻게 매 찰나 연결을 만드는 미디어로서 동작할 수 있는가? 미디어가 콘텐츠를 실어 나르는 도구가 아니라 네트워크라면, 인터페이스는 무엇이라 할 것인가? 인터페이스도 기능을 수행(execution)하는 물리적 장치를 넘어설 수밖에 없을 것이다. 단순히 생김새, 버튼이 아니라면 그럼 인터페이스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