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Tasting Class] [앵콜] 연결이 지배하는 세상의 수익모델 12/15(목)

[12월 Tasting Class] [앵콜] 연결이 지배하는 세상의 수익모델  12/15(목)

12월 주제는 [연결이 지배하는 세상의 수익모델]로 결정되었습니다. 올해의 9개 수업 중 참가자들의 투표를 통해 앵콜 주제를 선정한 결과인데요,  7월에 진행했던 ‘수익모델’이 압도적인 표를 받았습니다^^ 앵콜 수업인만큼 더욱 열심히 준비하겠습니다. 또한 연말에 진행되는 수업이니 즐겁고 의미있게 마무리할 수 있도록 작은 이벤트를 준비해보겠습니다.

수업 개요

연결이 지배하는 세상은 공짜가 기준이 되는 시장입니다. 이러한 세상에서는 서비스 모델(어떤 가치를 제공할 것인가?)과 수익 모델(어떻게 돈을 벌  것인가?)을 분리하여 생각해야만 합니다. 이 수업에서는 첫째, 공짜에서 출발하여 유료 모델로 가는 여정을 알아봅니다. 둘째,  수익모델의 3P를 중심으로 무엇에 대해, 누구에게, 얼마나 어떻게 받을 것인가 열띤 토론을 진행합니다. 사례를 중심으로 강의, 토론, 실습이 함께 진행될 예정입니다. 여러 사례 중 오가닉 미디어랩의 수익 모델 또한 함께 해부하여 파헤칩니다 ^^

FromFreeToPaid

공짜에서 유료로 가는 길은 험난한 여정이다. 오가닉 비즈니스에서는 어떤 것이 가장 희소한 가치이며 고객은 어떤 것에 돈을 지불하는가?

Continue reading

[7월 Tasting Class] 연결이 지배하는 세상의 수익모델 7/21(목)

7월의 수업(워크숍) 주제는 ‘수익모델’입니다. 연결이 지배하는 세상은 공짜가 기준이 되는 시장입니다. 이러한 세상에서는 서비스 모델(어떤 가치를 제공할 것인가?)과 수익 모델(어떻게 돈을 벌  것인가?)을 분리하여 생각해야만 합니다. 이 수업에서는 첫째, 공짜에서 출발하여 유료 모델로 가는 여정을 알아봅니다. 둘째,  수익모델의 3P를 중심으로 무엇에 대해, 누구에게, 얼마나 어떻게 받을 것인가 열띤 토론을 진행합니다. 사례를 중심으로 강의, 토론, 실습이 함께 진행될 예정입니다.

FromFreeToPaid

공짜에서 유료로 가는 길은 험난한 여정이다. 오가닉 비즈니스에서는 어떤 것이 가장 희소한 가치이며 고객은 어떤 것에 돈을 지불하는가?

Continue reading

수익 모델의 3P (3Ps of Revenue Models: Payer, Packaging, and Pricing)

수익 모델의 3P (3Ps of Revenue Models: Payer, Packaging, and Pricing)

<오가닉 미디어랩 신간: 오가닉 비즈니스(Organic Busines: Network is eating the world)>

구글하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로 생각한다. 하지만 여러분들은 구글을 이용하여 검색할 때 돈을 내지 않는다. 즉, 구글은 검색 서비스를 팔지 않는다. 그렇다면 구글을 검색 회사라고 할 수 있을까? 실제로 구글이 파는 것은 검색 광고다. 그렇다면 구글은 광고 회사인가? 아니면 검색 회사이기도 하고 광고 회사이기도 한 것인가? 구글의 비즈니스 모델은 무엇인가? 이 글에서는 왜 구글, 아마존, 페이스북과 같은 인터넷 기업의 비즈니스 모델이 첫째, 제공하는 가치 관점, 둘째 돈을 버는 관점으로 분리될 수 밖에 없는지 살펴보고 수익 모델의 진화 방향을 알아본다. Continue reading

정보는 세상의 중심이 되고 연결은 세상을 지배한다(Network is Eating the World)

정보는 세상의 중심이 되고 연결은 세상을 지배한다(Network is Eating the World)

<오가닉 미디어랩 신간: 오가닉 비즈니스(Organic Busines: Network is eating the world)>

세상이 변하고 있다. 모든 사람·기업들이 변화에 적응하지 않으면 살아남을 수 없다고 한다. 하지만 정작 무엇을 어떻게 해야하는 지에 대해서는 막막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IoT, O2O, 옴니채널, 핀테크, 빅데이터가 기회라고 하지만 더욱 머리속을 혼란스럽게 만들고 있다. 10여년간 구글, 아마존 등에 대해 강의하면서 느꼈던 어려운 점 중 하나는 기존의 틀에 이들 기업을 끼워맞추려 하는 사람들이 대부분이라는 것이다. 일례로, 증권계에 종사하는 한 MBA 학생은 구글이나 페이스북과 같은 기업은 거품에 불과하다고 주장하기도 했다(물론 한학기 강의가 끝나고서는 생각이 바뀌었다). 이들 기업은 새로운 틀에서 만들어졌기 때문에 기존의 틀을 적용한다면 이해가 불가능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이 글에서는 모든 것이 연결되는 세상에서 살아남기 위해 반드시 가져야할 사고의 틀에 대해 다룬다. 이를 위해 우선 두가지 큰 변화를 짚어보자. Continue reading

[Lecture]공짜 경제에서 어떻게 돈을 버는가? (How to Make Money in Free Economy)

[Lecture]공짜 경제에서 어떻게 돈을 버는가? (How to Make Money in Free Economy)

<관련 포스트: 스마트 경제에서는 어떻게 돈을 버는가?>

우리는 공짜가 넘치는 세상에 살고 있다. 뉴스도, 메일서비스도, 검색도, 음악도 공짜이다. 이러한 세상에서 돈을 번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해 보이기도 한다. 이 강의에서는 공짜(에 수렴하는) 서비스(service model)에 기반하여 수익모델(revenue model)을 창출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Continue reading

[Lecture]연결이 지배하는 세상: Network is Eating the World!

이제 모든 것이 연결되는 세상입니다. 웹에서 출발한 문서의 연결은, 사람의 연결을 거쳐, 이제 모든 문서/사람/사물의 연결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세상에서 마크 앤드리슨의 “소프트웨어가 세상을 먹어치운다”라는 주장이 왜 반만 맞는지에 대해 알아보는 강의입니다. Continue reading

비트코인, 우리가 은행이다 (We are a Bank in Bitcoin)

비트코인, 우리가 은행이다  (We are a Bank in Bitcoin)

<이전 포스트: 연결이 지배하는 세상, 화폐의 필연적 진화>

지난 포스트에서는 오가닉 미디어 세상에서 왜 새로운 화폐 시스템이 출현할 수밖에 없는지 논의했다. 이번에는 시대가 요구하는 대안으로 비트코인을 다룰 것이다. 비트코인은 아직 검증되지 않았다. 그러나 이 글에서 비트코인은 답이 아니라 ‘현상’이니 안심하기 바란다. 연결이 지배하는 세상에서 화폐(거래시스템)가 진화하는 방향을 짚고 그 흐름을 해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Continue reading

비트코인 주소, 거래, 그리고 지갑 (Bitcoin Addresses, Transactions, & Wallets)

비트코인 주소, 거래, 그리고 지갑 (Bitcoin Addresses, Transactions, & Wallets)

<이전글: 비트코인 채굴과 선순환 구조>

비트코인 채굴에 이어 이번 글에서는 비트코인 거래와 이의 익명성, 투명성, 그리고 안전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비트코인을 사용하는데는 비트코인 지갑(예를 들어 MultiBit)을 설치하거나 지갑 서비스(My Wallet이나 Coinbase)에 가입하기만 하면 된다. 하지만 비트코인을 제대로 이해하고자 하거나,  비트코인을 안전하게 사용하려면 비트코인 거래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을 이해하여야 한다. Continue reading

연결이 지배하는 세상, 화폐의 필연적 진화 (Inevitable Evolution of Money in a Connected World)

연결이 지배하는 세상, 화폐의 필연적 진화 (Inevitable Evolution of Money in a Connected World)

얼마전 일본을 다녀오면서 환전 때문에 한바탕 곤혹을 치뤘다. 새벽에 김포공항 환전소가 문을 닫는 바람에 곧장 출국, 현지에서도 기회를 놓치고 엉겹결에 동경 근처 시골로 바로 가게 된 것이다. 설마 했는데 식당도 박물관도 현금이 아니면 먹을 수도 구경할 수도 없었다. 가까스레 현금 인출기를 찾았지만 일본 카드가 아니면 무용지물이었다. 라면 한그릇도 못사먹는 처지가 되니 지갑속의 원화는 돈이 아니라 그냥 종이였다. 우여곡절 끝에 한국분을 만나 십만원 정도 환전하는데 성공하고 눈물겨운 하루는 천만다행으로 일단락 되었다. Continue reading

비트코인 채굴과 선순환 구조 (Virtuous Cycle of Bitcoin Mining)

비트코인 채굴과 선순환 구조 (Virtuous Cycle of Bitcoin Mining)

<이전 포스트: 비트코인은 버블인가, 파괴적 혁신인가?>

비트코인에 관심을 가진 독자라면 왜 비트코인을 우리가 아는 화폐처럼 발행을 하지 않고 어려운 채굴과정을 거치는지 매우 궁금할 것이다. 이전 글에서 채굴은 (1)새로운 비트코인을 공급하기도 하지만 (2)블록체인이라 불리는 공유된 거래기록을 해커나 사기꾼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고 언급하였다.  이 글에서는 비트코인 채굴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고 채굴의 의미에 대해 자세히 알아봄으로써 비트코인이 왜 새로운 유형의 화폐로써 자리잡을 가능성이 높은지를 살펴본다.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