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y] 돈의 작용 반작용 (Action and Reaction of Money)

[Why] 돈의 작용 반작용 (Action and Reaction of Money)

<이전 글: [Why] 어느 강아지의 발견>

우리에게 돈이란 무엇인가? 앞에서 다룬 존재적 빈곤의 실체를 알아보기 위해 피해 갈 수 없는 것이 돈이다. 돈은 살아있다. 나와 인격적인 관계를 맺고 있다. 심지어 그 관계 속에서 성장한다. 인류의 사회 관계는 돈을 매개로 형성되어 왔으며 그 과정에서 돈은 이 사회관계의 주인이자 질서가 되었다. 그래서 우리의 첫 번째 존재적 질문임과 동시에, 답을 찾아줄 매개체가 돈이다.

돈이 우리 삶을 지배해왔다는 사실은, 각자의 돈에 대한 인식의 문제를 벗어난다. 돈은 우리와 항상 같이 있지만(대출금도 돈이다), 눈으로 보고 셀 수 있지만, 돈의 작용은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돈은 나와 사회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작동하고, 이 작동이 다시 우리의 관계를 정의한다.

지금부터 돈의 신뢰작용, 중력작용, 지배작용을 차례대로 살펴볼 것이다. 이 과정에서 돈의 객관성, 등가성, 보편성을 돈의 본질적인 속성으로 정의하고, 돈의 작용이 만드는 반작용을 결론에서 맺을 것이다. 이를 통해 우리의 존재로부터 돈을 분리해 내고, 돈의 실체를 밟고 서서, 여러분이 시작하게 될 새로운 질문을 목격하고자 한다.

Continue reading

[Why] 고슴도치의 죽음 (The Death of a Hedgehog)

[Why] 고슴도치의 죽음 (The Death of a Hedgehog)

<이전 글: [Why] 프롤로그: ‘Why’인가?>

죽음의 문턱에 이르러서야 알았다. 그때가 2017년 4월. 두 번째 책 오가닉 마케팅이 출간되고 겨우 한 달을 넘긴 때였다. 그간의 노력은 나를 배반하지 않고 정점을 찍기 시작했다. 나는 가장 즐겁게, 열정을 다해 할 수 있는 일에 온전히 몰입되어 있었다. 일을 하면 할수록 나는 성장했으며 내가 하는 일을 대체할 수 있는 사람은 세상에 없었다. 브랜드가 만들어지고 있었고 기업들이 줄을 서기 시작했다.

고슴도치 전략

짐콜린스가 ‘좋은 기업을 넘어 위대한 기업으로‘라는 책에서 소개한 ‘고슴도치 전략’의 성공이었다. 원리는 단순하다. 첫째, 내가 열정을 가지고 가장 기쁘게 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인지 찾는다. 둘째, 그것으로 세계 최고가 될 수 있는지 자문한다. ‘아니오’가 나오면 ‘예’가 나올 때까지 처음 답을 수정한다. 셋째, 그것으로 돈을 벌 수 있는지 자문한다. 아니라면 다시 처음 답을 수정한다. 세 꼭지가 선순환으로 돌아갈 수만 있다면 그다음은 기하급수적인 성장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Continue reading

[Why] 가면무도회 (Masquerade)

[Why] 가면무도회 (Masquerade)

<이전 글: [Why] 고슴도치의 죽음>

내 별명은 진돗개다. 한번 물면 놓지 않는단다. 워크숍에서 내 역할은 질문자다.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진정한 답을 본인이 찾아낼 수 있을 때까지 질문이 꼬리에 꼬리를 잇는다. 누군가는 살을 다 발라내고 생선뼈만 남는 과정이었다고 표현하기도 했다. 사람들은 ‘이 정도면 충분히 나온 것 같다, 너무 좋은 시간이었다’며 황급히 마무리를 시도하기도 한다. 무의식적으로 도망갈 문을 찾는다. 진심이라는 것도 안다. 하지만 99도에서는 물이 끓지 않는다.

대부분은 문제를 직면하는 대신 질문자인 나를 설득하기 위한 답을 한다. 스스로도 그것이 답이라고 믿고 있다. 그 논리적인 답들이 스스로도 속이고 있다는 사실을 알아차리기까지 시간이 걸린다. 문고리를 찾으며 피하고 싶은 고통의 시간이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찾아가는 것이 ‘Why’다. 질문이 이어지다 보면 한 단계씩 더 깊이 내려간다. 답을 찾은 것 같지만 그 밑에는 한 겹이 더 있다. 그 한 겹을 더 벗겨내고 한차례 더 답에 가까워진 것 같지만 끝이 아니다. 계속 들어가야 한다. 그래서 본래 던져야 할 질문, 발견해야 할 문제에 다다른다. 그렇게 마치 양파 껍질을 벗기듯이 가면을 한 겹씩 스스로 벗으면서 진정한 ‘왜’를 스스로 찾아내게 된다.

보통은 우리 회사의 존재 이유, 나의 일, 해결해야 할 문제 등에서 시작하는데, 바로 이런 과정 때문에 어김없이 가면이라는 단어를 마주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심리 치료 시간도 아닌데 얼마나 당황스러운가. 내가 가면을 쓰고 있다니 내내 불편하고 싫을 수밖에 없다. 처음에는 문장 자체를 이해하지 못하고 그다음에는 가면이 왜 내 얘기라는 것인지 어리둥절하고, 그다음은 기분이 나빠진다. 스스로 ‘왜’를 명확하게 찾게 되는 순간까지. 

보통 가면은 나의 본래 모습과 의도를 상대방에게 숨기기 위해 필요하다. 나를 보호하기 위해 쓴다. 그런데 우리가 집중하고자 하는 것은 타인을 향해 있는 가면이 아니라, 내가 바라보는 가면이다. 내가 거울처럼 바라보고 나 자신으로 인식하는 가면이다. 그래서 알아차리기가 어렵다. 하지만 내가 안다고 믿어온 것, 믿어의심치 않았던 것들을 직면하고 내려놓을 수 있는 힘이 있어야 앞으로 갈 수 있다. 그 첫번째가 나 자신에 대한 인식, 내가 세상을, 관계를, 나 자신을 올바로 볼 수 있도록 막고 있는 내 가면이다. 이 글은 그 가면에 대한 인식을 돕기 위해 쓰게 되었다.

Continue reading

[Why] 프롤로그: 왜 ‘Why’인가? (Prolog)

[Why] 프롤로그: 왜 ‘Why’인가? (Prolog)

초등학교 시절 우리 집은 일주일에 한 번씩 가족회의를 했다. 삼 남매와 부모님이 참석하는 이 회의는 오빠가 진행했다. 매주 가장 중요하게 제기되는 안건이 있었는데 “엄마는 꼭 일을 해야 하는가?”였다. 다른 집은 방과 후 엄마가 간식도 챙겨주고 맞이해 주는데 우리는 왜 할머니와 있어야 하는가, 다른 엄마들처럼 우리를 돌봐주는데 전력을 다하면 안 되냐는 것이었다. 전문용어로 왜 우리 엄마는 전업주부가 아니어야 하는가 정도 될 것이다.

엄마의 답은 늘 같았고 우리는 매번 설득되었다. 정확한 문장은 생각나지 않지만 아주 오랫동안 이 멋진 말을 이해하려고 노력했고 엄마를 응원할 수밖에 없었다. 그리고 그 마음은 내 인생을 응원하는 마음이 되었다.

Continue reading

월스트리트저널 사건으로 본 전통 저널리즘의 종말 (The end of old journalism through the lens of a WSJ-Elon Musk incident)

월스트리트저널 사건으로 본 전통 저널리즘의 종말 (The end of old journalism through the lens of a WSJ-Elon Musk incident)

주변에 기자, 미디어 관계자가 많다. 오가닉미디어 책을 내기 전부터 맺어온 인연이다. 한동안 토마토나 블루베리 파이, 꿀벌에 대한 진심으로 침묵해온 주제인데 이번만은 안되겠다는 마음으로 오래간만에 글을 쓴다. 어제 벌어진 월스트리트 저널 사건은 전통 (매체) 저널리즘의 종말을 알리는 상징이자 증거로 기록되기에 충분하다.

연결이 지배하는 이 세상에서 최소 1명 이상의 팔로어를 가진 우리는 모두가 기자이고 미디어다. 그러니 모든 기사를 실어 나를 때 정확한 정보인지 사전 확인부터 할 책임이 우리 모두에게 있다. 일반인들도 이런 의무가 있는데 전문기자와 언론사는 어떨까? 팩트 체크는 당연하고 독자와 시청자들의 판단을 돕기 위한 정확한 근거 제시, 객관적인 분석과 보도는 당연한 의무다. 그렇지 않으면 존재할 가치가 없다.

Continue reading

일에서 삶으로: 언제까지 계속 할건가요?

일에서 삶으로: 언제까지 계속 할건가요?

친구수 4217명 팔로어수 2897명

비오고 바람부는 발코니에서 가디건까지 걸치고 아름다운 음악을 귀에 꽂고 길을 생각하는 이 시간. 원래는 토종꿀 오픈 소식을 페친들에게 알리려고 했는데 오늘은 좀 다른 글을 써야 할 것 같다.

이 글을 읽고 있는 친구들의 2/3는 오가닉미디어랩에서 연재하던 오가닉 미디어, 비즈니스, 마케팅 시리즈 글과 책을 통해 만났다. 한꼭지씩 주제를 정리하기 위해서는 약 한달의 시간이 필요했는데, 비가오나 눈이오나 꾸준히 5년간 계속했다. 왜 미디어가 살아있는 생명체이며, 비즈니스가 살아있는 네트워크를 만드는 과정인지, 우리가 얻은 인사이트를 개념으로 정리했고 조금씩 구독자가 늘어났다.

Continue reading

네트워크는 체득이다: 한 사람의 성장일기

네트워크는 체득이다: 한 사람의 성장일기

회사에서 붓을 들고 몰두해서 그림을 그리고 있는 스타트업 대표를 보며 한 멤버가 묻는다.

“성영님, 언제부터 그림 그리셨어요?”

“토종꿀 프로젝트가 처음이에요.”

“아니, 디자이너로 일한 지 20년 넘지 않으셨어요?”

“그동안은 돈을 벌기 위해 그림을 그렸어요. 그때도 즐겁게 작업을 했고 원하는 것을 그렸지만, 지금 온 마음과 진심으로 전하고 싶은 메시지가 있어요. 이 토종벌이, 저에게는 첫 그림입니다.”

Continue reading

[오가닉 시리즈 on Live] ‘2인 3각 릴레이 산타’와 조직없는 조직화

[오가닉 시리즈 on Live] ‘2인 3각 릴레이 산타’와 조직없는 조직화

2021년 4월 13일 업데이트
아래 캠페인은 12월 25일 주간까지 약 3주간 총 40만명이 테스트에 참여하고 뉴스, 네이버 실시간 검색 1위 등에 오르는 결과를 얻었다. 그리고 무엇보다 4인 중에 2인이 프롬에 합류하게 되었다. 프롬은 그들이 얼마나 주체가 되어 이 일을 하고 있는지 반했고, 그들은 프롬과 일하는 과정에서 본 투명성과 의사결정 과정, 라이브에서의 설레이는 경험, 그리고 흔들리지 않을 프롬의 ‘존재이유(why, 왜 이 이일을 하는가)’가 프롬으로 합류하게 된 계기가 되었다. 인사이트를 좀 더 정리해서 올리기전에 우선 중간 공유를 위해 사실 중심으로 업데이트 해둔다.

——–

진작에 글을 쓰고 싶었는데, 스타트업을 하며 라이브 서비스를 하며 글로 무언가를 정리한다는 것은 쉽지 않았다. 사치스럽다는 생각도 들었다. 하루 하루 정신없이 지내다 보면 바쁜 하루가 가고 새벽이면 잠이 쏟아진다. 그렇게 2년이 흘렀고 이제는 더 이상 견디기 어려운 지경이 되었다. 그만큼 몸으로, 가슴으로 쓰라리게 배운 이야기를, 그래서 다시 앎으로 정리해야 하는 시간이 오고 있다.

2차원에서 다차원으로

모니터속 인터넷 페이지는 평면적이지만 네트워크는 다차원이다. 가판대, 진열대, 쇼윈도우는 2차원이다. 여기서는 눈에 보이는 상품들, 생김새, 숫자, 가격이 중요한 대부분의 정보가 된다. 반면 네트워크의 차원은 한눈에 보이지 않는다. 친구를 셀 수 있어도 친구의 ‘관계’는 눈으로 보거나 셀 수 없는 것과도 같다.

Continue reading

오가닉마케팅에서 커머스로 – 친구로부터 온 ‘프롬’ (From Organic Marketing to Commerce: from Friends, ‘FROM’)

오가닉마케팅에서 커머스로 – 친구로부터 온 ‘프롬’ (From Organic Marketing to Commerce: from Friends, ‘FROM’)

고객과 함께 만드는 실전은 도저히 예측 불가다. 관계는 살아있는 것이어서 이토록 모든 과정이 생생하게 세포 하나 하나에 박힌다. 평범하지만 예측불가한 우리의 매일이 사실은 기적인 것처럼 말이다. ‘감독이 벤치에 있어야지 경기장으로 나와서야 되겠냐’고 걱정을 해주지만 뛰쳐나오자마자 바로 깨져보니 감사하게도 잃을 것도 두려울 것도 없다.

처음부터 빗겨간 예측, 우리 팀이 배운 것

작년 10월 작게 베타 서비스를 오픈했다. 우리에게 가장 익숙한 책 카테고리를 먼저 공략했다. 오가닉미디어랩을 응원하는 분들과 ’50인의 발굴단’을 먼저 런칭했고 추천하고 싶은 책 50권이 발굴되었다. 책에 대한 실험이 끝나면 다음 카테고리로 옮겨갈 작정이었다. 그러나 이런 야무진 계획은 2-3주만에 수정되어야 했다.

Continue reading

오가닉 마케팅에서 커머스로 – 연재를 시작하며 (From Organic Marketing to Commerce: The Beginning)

오가닉 마케팅에서 커머스로 – 연재를 시작하며 (From Organic Marketing to Commerce: The Beginning)

긴장과 실행, 배움의 연속인 이 귀한 날들을 기록으로 남기지 않으면 안될 것 같아서, 좌충우돌 격한 시간들을 남김없이 나누고자 연재를 시작한다. 우리의 시행착오가 누군가에게는 도움이 되기를 소망하면서.

“귀족들이 죽음의 계곡 넘어갈 수 있겠어요?”

커넥서스컴퍼니를 맡고 여러번 들은 말이다. 사실 8년전에 피를 철철 흘리며 엑시트(exit) 했을 때, 다시는 스타트업을 시작하지 않으리라 다짐했다. 혹독한 경험이었다. 비즈니스를 모르고 자만심 가득했던 그때 수업료를 참 많이 내고 시장을 뼈저리게 배웠다. 내가 만드는 서비스가 살아있고 시장이 살아있음을 알았다.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