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19일(목) Cooking Class] 강을 건너온 사람들

7월 쿠킹클래스는 조금 새로운 방식으로 진행해볼까 합니다. 바로 참여자 여러분들의 이야기입니다. 이번 달의 주제를 고민하던 중 최근 2개의 사건이 있었습니다. 모 컨퍼런스에서 월드비전 전담반의 네트워크 체험에 대한 발표가 있었고 2018년 상반기 테이스팅 클래스의 종강이 있었습니다. 월드비전 전담반은 그동안 어떻게 네트워크를 체득했는지 발표했는데, 스스로를 ‘강을 건너온 사람’으로 칭하며 왜 다시는 돌아갈 수 없는지 고백을 나눠주었습니다. 쿠킹클래스에서도, 저희와 평소 하는 회의에서도 들어볼 수 없는 소중한 이야기가 있었습니다.

테이스팅 클래스에서는 8주 과정을 통해 네트워크 기반의 사고, 네트워크 기반의 가치를 만드는 것이 어떤 것인지 생각해보게 되고, 아직 답을 알 수 없지만 더 이상 돌이킬 수 없는 강을 건너오게 되었다는 체험의 나눔이 있었습니다. 사실 저희도 이런 과정을 거쳤기에 이 일을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쿠킹 클래스의 많은 분들이 같은 과정을 거치셨으리라 생각합니다. 그런데 무엇이 강을 건너기 전과 후를 가르는 것일까요? 돌이킬 수 없는 사고란 무엇일까요? 우리는 지금 어디로 가고 있나요?

이번에는 이런 진솔한 이야기를 중점적으로 나누고, 서로의 현재를 점검하고 도와주는 시간을 갖고자 합니다. 이어서 네트워크의 체험이 어떻게 기획으로 이어지는지 맥락화(Contextualization/사용자 행동 설계)의 수정 과정도 공유하는 시간을 가질 예정입니다. 끝으로(시간이 된다면) 오가닉 미디어 밸리가 만들고자 하는 가치와 운영 방법에 대해서도 공유하는 시간을 가지겠습니다.

월드비전 전담반 김수지님.

Continue reading

[6월 21일(목) Cooking Class] 인터페이스 설계 (Interface Design)

6월 쿠킹클래스의 주제는 ‘인터페이스 설계’입니다. 먼저 지난 수업에서는 네트워크 관점에서 인터페이스의 개념을 다뤘습니다. 특히 정보, 행위, 기억으로 구성된 인터페이스를 분석하고 어떻게 MVN 즉 네트워크 구조와 연결될 수 있는지 살펴봤습니다. 이번 수업은 그 다음 단계입니다. 구체적인 인터페이스의 설계 프로세스와 방법론을 살펴봅니다.

고객의 행동이 주체가 되는 UI 설계란 어떤 것일까요? UI는 단순히 눈에 보이는 디자인이 아니지요. 네트워크 구조와 고객 행동 설계, 데이터 베이스 설계 등은 서로 뗄려야 뗄 수 없는 관계에 있습니다. 살아있는 인터페이스의 설계가 살아있는 네트워크를 만듭니다. 그 방법론을 함께 공부하고 실제 진행되고 있는 적용 사례를 공유합니다.

인터페이스는 미디어의 3C 중 컨테이너 즉 연결의 구조와 컨텍스트 즉 연결의 환경의 교집합으로 나타난다.

Continue reading

[5월 26일] 테이스팅 클래스(3): 고객은 누구인가?(Redefinition of customers)

상반기 테이스팅 클래스 3회차 수업 안내. 안과 밖이 없는 연결된 세상에서 고객이란 누구인가? 만약 오가닉 마케팅이 바이럴 마케팅의 또 다른 표현이라면 고객의 역할은 제품을 구매하고 소문을 내주는 것에 국한될 것이다. 그리고 우리의 목적은 여전히 타겟에게 제품을 전달하는 것에서 벗어나지 못할 것이다.

‘고객의 활동사슬(Chain of Actions)’, 윤지영, 오가닉 마케팅, 2017.

그래서 이 수업은 ‘연결된 세상의 고객’을 본질적으로 다시 정의하는 데에 할애되었다. 이를 통해 고객이 만드는 제품 즉 네트워크의 실체에 대해 논의한다. 고객이 구매자, 매개자, 판매자가 될 때 이들이 만드는 네트워크는 단순히 구매한 사람들의 집합이 아니다. 콘텐츠로 매개된 사람들, 사람들로 매개된 콘텐츠의 네트워크의 실체가 드러난다. 고객의 정의와 역할, 네트워크의 분석과 측정 등에 대해 살펴보고 이것이 비즈니스의 본질을 어떻게 바꾸는지 결론에서 논한다. Continue reading

[5월 17일(목) Cooking Class] 부산 원정대 (From manufacturing to organic network)

5월 쿠킹클래스는 부산에서 1박2일로 진행됩니다. 디지털 임플란트 회사인 (주)디오가 어떻게 네트워크 회사로 변모하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는지, 그 생생한 체험을 함께 나눕니다. 지금까지 오가닉 미디어랩과의 여정을 공개하고, 조직내에서 실행하면서 단계별로 얻게 된 인사이트, 시행착오와 어려움, 배움과 의사결정, 앞으로의 계획을 나눌 예정입니다.


Continue reading

[4월 19일(목) Cooking Class] 컨텍스트와 인터페이스 (Context and Interface)

4월 쿠킹클래스의 주제는 ‘인터페이스’입니다. 지난 시간까지 네트워크 구조 설계와 성장에 대해 진행했는데요, 이번 달은 구체적으로 사용자들의 “행동”이 일어나고 “경험”이 생성되는 인터페이스에 대해 집중 논의합니다. 인터페이스는 컨텍스트를 만드는 실체입니다. 일반적으로 이야기하는 UI, UX가 아니라, 12월에 진행된 “Contextualization“을 구현하는 과정입니다.

Continue reading

2018 상반기 테이스팅 클래스(Tasting Class) 커리큘럼과 등록

2018 상반기 테이스팅 클래스(Tasting Class) 커리큘럼과 등록

[개요]

오가닉 미디어, 비즈니스, 마케팅을 글로 접하고 다음 단계로 나아가기 원하는 분들을 위한 수업입니다. 책보다 심화된 내용, 오가닉 시리즈의 상호 연결 구조, 실전에서 오가닉 네트워크를 만드는 방법론(오가닉 레시피) 등 다양한 내용을 다룹니다. 상하반기 각각 8회로 커리큘럼이 구성됩니다(기존의 맛보기수업에서 다뤘던 16개의 주제와 쿠킹 클래스에서 새롭게 다루는 주제를 포괄). 특별한 커리큘럼이 미리 정해지지 않은 쿠킹클래스와 달리 테이스팅 클래스에서는 미리 커리큘럼이 짜여져 있습니다. Continue reading

[2월 22일(목) Cooking Class] 네트워크, 어떻게 성장시킬 것인가? (Growing Networks)

[중요!!] 2018년 1월부터 맛보기수업이 ‘쿠킹클래스(오가닉 미디어랩 연회원 대상, Invitation Only)‘와 ‘테이스팅 클래스(일반등록)‘으로 분리되었습니다. 본 포스트는 쿠킹클래스 안내이며, 테이스팅 클래스는 최인아책방에서 3월부터 시작합니다. 상반기 프로그램을 곧 공지할 예정입니다.

2월 쿠킹클래스의 주제는 ‘네트워크의 성장’입니다. 지난 달에는 네트워크의 체득을 어떻게 ‘시작’하는지,  1차 실험 사이클 설계부터 적용, 인사이트, 2차 사이클의 설계까지 방법론과 사례를 다뤘습니다. 이번에는 그 다음으로 네트워크 규모(scale)을 어떻게 만드는지가 주제입니다.

그리고 오가닉 미디어랩이 여러분을 위해 준비하고 있는 [공간 프로젝트]와 [OS 프로젝트]를 소개합니다. 기대하셔도 좋습니다 🙂

Continue reading

[조직없는 조직화] 블록체인이 꿈꾸는 세상 (What Blockchains Dream)

[조직없는 조직화] 블록체인이 꿈꾸는 세상 (What Blockchains Dream)

<추천 동영상: [Lecture] 블록체인이 꿈꾸는 세상 @연세대 4차 산업혁명 런치포럼>

최근 들어 비트코인과 이더(이더리움의 화폐) 등의 가격이 급등하면서 암호화 화폐(cryptocurrency), 블록체인(blockchain)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높아졌다. 하지만 여전히 비트코인을 비롯한 블록체인에 대한 일반의 이해는 오해에 가깝다. 예를 들어, 블록체인을 암호화 화폐(cryptocurrency)의 관점에서 투자(투기) 대상으로만 보는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는 분산장부(distributed ledger)의 관점에서 기존 시스템을 더욱 효율화하고 고도화할 기술로만 생각하는 것이다.

이러한 오해는 블록체인이 가져올 변화에 대해 무시하거나 과소평가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하지만 블록체인은 크게 세 가지 측면에서 금융, 조직, 경제, 사회에 혁명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이다.

첫째, 블록체인은 유무형의 자산(가치)을 안전하게 저장할 수 있다. 둘째, 이렇게 저장된 자산은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를 이용하여 안전하게 거래할 수 있다. 셋째, 나아가 블록체인은 우리가 협업하고 조직화하는 방식을 완전히 바꿀 수 있다.

지금부터 블록체인이 무엇이며 암호화 화폐는 어떤 역할을 하는지 간단히 알아보고, 위의 3가지 관점에서 블록체인이 세상에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지 살펴본다. 이 글은 요약본이다. 이 글에 언급된 개념과 현상들은 앞으로 이어지는 시리즈 글을 통해 좀 더 깊게 파헤치면서 정리해 갈 예정이다. Continue reading

[1월 18일(목) Cooking Class] 네트워크를 체득하다 (Validating Networks)

[중요!!] 2018년 1월부터 맛보기수업이 ‘쿠킹클래스(오가닉 미디어랩 연회원 대상, Invitation Only)‘와 ‘테이스팅 클래스(일반등록)‘으로 분리됩니다. 본 포스트는 쿠킹클래스 안내이며, 테이스팅 클래스는 최인아책방에서 3월부터 시작합니다. 상반기 프로그램을 곧 공지할 예정입니다.

1월 쿠킹클래스의 주제는 ‘체득하는 네트워크’입니다. 이를 위해 1차 실험 사이클 설계부터 적용, 인사이트, 2차 사이클의 설계까지 방법론과 사례를 다룹니다. 저희와 홈스쿨링을 진행하는 회사들의 사례를 함께 논의하고 ‘체득하는 네트워크’에서 신년회도 겸합니다 ^^

Continue reading

[12월 21일(목)Tasting Class] 컨텍스트를 디자인하다 (How to design context?)

12월의 주제는 컨텍스트입니다. 지난 달 [네트워크를 그리다] 수업에서는 MVN(Minimum Viable Network)를 중심으로 네트워크의 구조와 작동원리를 알아봤습니다. 연결된 세상에서 모든 비즈니스 모델을 네트워크로 해석하고 어떻게 실전에 적용할 것인지, 제품-조직-고객의 관계를 어떻게 네트워크로 만들 것인지 방법론과 현장 사례를 논의했습니다.

그런데 이 네트워크를 만드는 주체는 누구인가요? 네트워크를 설계만 해놓으면 저절로 네트워크가 생기고 자라날까요? 컨텍스트는 바로 이 네트워크를 유기체로 만드는 모든 것입니다. 연결된 세상에서는 멋진 플랫폼을 설계한다고 저절로 네트워크가 만들어지지 않습니다. 반대로 사소하고 지루한 연결 하나하나가 쌓여 네트워크를 만듭니다. 이 사소한 연결을 만드는 것이 바로 컨텍스트입니다.

오가닉 마케팅이 고객의 경험에서 출발한다면, 컨텍스트는 경험을 만드는 주인공이다. 컨텍스트가 끊어지면 경험도 끊어진다. 경험이 끊어지면 제품은, 서비스는, 콘텐츠는 죽는다. 어떻게 끊김이 없는 컨텍스트를 만들 것인가?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