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조직에 속하지 않은 참여자들이 같은 방향을 보고 움직이기 위해서는 “왜?”라는 질문이 더욱 중요합니다. 월드비전의 오가닉 여정을 소개합니다.
원문: https://moduvillage.wordpress.com/2017/12/26/organicjourney1/
한 조직에 속하지 않은 참여자들이 같은 방향을 보고 움직이기 위해서는 “왜?”라는 질문이 더욱 중요합니다. 월드비전의 오가닉 여정을 소개합니다.
원문: https://moduvillage.wordpress.com/2017/12/26/organicjourney1/
[중요!!] 2018년 1월부터 맛보기수업이 ‘쿠킹클래스(오가닉 미디어랩 연회원 대상, Invitation Only)‘와 ‘테이스팅 클래스(일반등록)‘으로 분리되었습니다. 본 포스트는 쿠킹클래스 안내이며, 테이스팅 클래스는 최인아책방에서 3월부터 시작합니다. 상반기 프로그램을 곧 공지할 예정입니다.
2월 쿠킹클래스의 주제는 ‘네트워크의 성장’입니다. 지난 달에는 네트워크의 체득을 어떻게 ‘시작’하는지, 1차 실험 사이클 설계부터 적용, 인사이트, 2차 사이클의 설계까지 방법론과 사례를 다뤘습니다. 이번에는 그 다음으로 네트워크 규모(scale)을 어떻게 만드는지가 주제입니다.
그리고 오가닉 미디어랩이 여러분을 위해 준비하고 있는 [공간 프로젝트]와 [OS 프로젝트]를 소개합니다. 기대하셔도 좋습니다 🙂
[중요!!] 2018년 1월부터 맛보기수업이 ‘쿠킹클래스(오가닉 미디어랩 연회원 대상, Invitation Only)‘와 ‘테이스팅 클래스(일반등록)‘으로 분리됩니다. 본 포스트는 쿠킹클래스 안내이며, 테이스팅 클래스는 최인아책방에서 3월부터 시작합니다. 상반기 프로그램을 곧 공지할 예정입니다.
1월 쿠킹클래스의 주제는 ‘체득하는 네트워크’입니다. 이를 위해 1차 실험 사이클 설계부터 적용, 인사이트, 2차 사이클의 설계까지 방법론과 사례를 다룹니다. 저희와 홈스쿨링을 진행하는 회사들의 사례를 함께 논의하고 ‘체득하는 네트워크’에서 신년회도 겸합니다 ^^
12월의 주제는 컨텍스트입니다. 지난 달 [네트워크를 그리다] 수업에서는 MVN(Minimum Viable Network)를 중심으로 네트워크의 구조와 작동원리를 알아봤습니다. 연결된 세상에서 모든 비즈니스 모델을 네트워크로 해석하고 어떻게 실전에 적용할 것인지, 제품-조직-고객의 관계를 어떻게 네트워크로 만들 것인지 방법론과 현장 사례를 논의했습니다.
그런데 이 네트워크를 만드는 주체는 누구인가요? 네트워크를 설계만 해놓으면 저절로 네트워크가 생기고 자라날까요? 컨텍스트는 바로 이 네트워크를 유기체로 만드는 모든 것입니다. 연결된 세상에서는 멋진 플랫폼을 설계한다고 저절로 네트워크가 만들어지지 않습니다. 반대로 사소하고 지루한 연결 하나하나가 쌓여 네트워크를 만듭니다. 이 사소한 연결을 만드는 것이 바로 컨텍스트입니다.
오가닉 마케팅이 고객의 경험에서 출발한다면, 컨텍스트는 경험을 만드는 주인공이다. 컨텍스트가 끊어지면 경험도 끊어진다. 경험이 끊어지면 제품은, 서비스는, 콘텐츠는 죽는다. 어떻게 끊김이 없는 컨텍스트를 만들 것인가?
11월의 주제는 네트워크입니다. 저희는 세상의 모든 가치를 네트워크 관점에서 보고 있습니다. 저희의 책 오가닉 미디어, 비즈니스, 마케팅에 공통적으로 나오는 키워드가 바로 네트워크입니다. 이번 수업에서는 네트워크의 실체를 해부합니다. “제품이 네트워크다”를 머리로 이해했지만 실전에서 어떻게 적용해야 할지 고민하고 있는 분들을 위한 시간입니다. 현상의 다음 단계 즉 ‘해석’과 ‘적용’에 대해 논의하고자 합니다.
네트워크를 이루는 가장 단위는 노드와 링크다. 연결 관계(link)를 만드는 미디엄을 찾는 것이 가장 중요한 시작점이다.
지난 9월 뜨거웠던 맛보기 수업의 결론 챕터, 기억하시나요? 오가닉 미디어랩이 앞으로 가고자 하는 미래, 사람이 중심이며 위와 아래가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오직 도와주는 관계만이 존재하는 새로운 조직에 대한 꿈을 나눴습니다. 10월에는 그 본격적인 이야기를 이어갑니다.
연결이 지배하는 세상에서 제품(콘텐츠)의 가치는 제품 자체에 있지 않고 제품(콘텐츠)이 만드는 네트워크에 있다. 이 관점은 가치를 만드는 프로세스, 가치를 만드는 조직의 작동 방식을 필연적으로 바꾸게 된다. 제품, 과정, 조직의 유기적 변화와 선순환 없이 혁신은 불가능하다.
9월의 주제는 ‘오가닉 미디어·비즈니스·마케팅’입니다. 오가닉 미디어랩에서는 2014년 «오가닉 미디어» 출간을 시작으로, 2016년 «오가닉 비즈니스», 올해 «오가닉 마케팅»에 이르기까지 3권의 오가닉 시리즈를 출간하였습니다. 그동안 독자, 가족 여러분들의 피드백과 응원이 없었다면 여기까지 오지 못했을 것입니다.
이번 맛보기 수업은 조금 특별한 자리로 만들어 보고자 합니다. 지난 4개월은 저희 삶을 변화시킨 예외적인 시간이었습니다. 감사하게도 저희가 지금까지 해왔던 것을 돌아보고, 어디에 와 있으며, 어디로 가야할지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하는 시간이기도 했습니다. 이번 맛보기 수업은 그 내용을 공유하는 자리입니다.
오가닉 미디어·비즈니스·마케팅의 삼각관계, 만드는 사람들, 비전에 대한 생각을 나누는 시간입니다.
여러분 안녕하세요? 피치 못할 사정으로 5월~7월 맛보기수업을 진행하지 못했습니다. 여러분들의 응원과 격려에 감사드립니다. 감사의 마음을 전하고자 4월에 진행했던 ‘테슬라의 모든 것’ 맛보기 수업 영상을 공개합니다. 총 4시간 남짓 수업을 1시간 40분으로 편집했습니다.
이 수업이 테슬라의 네트워크 구조, 작동 원리와 메커니즘을 총체적으로 이해하고 여러분의 비즈니스에 적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데에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Aug. 9, 2017
Organic Media Lab
help@organicmedialab.com
8월의 주제는 ‘이더리움’입니다. 지금까지 오가닉미디어랩의 여러 글과 맛보기 수업이 ‘비트코인’을 다뤄왔는데요, 이번에는 이더리움의 본질을 파헤쳐서 앞으로 이것이 가져올 조직적, 경제적, 사회적 변화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것이 목표입니다.
최근 들어 비트코인과 이더(이더리움의 화폐)의 가격이 급등하면서 암호화 화폐(cryptocurrency), 블록체인 등에 대한 대중의 관심도 높아졌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블록체인에 대한 일반적인 이해는 오해에 가깝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번 수업에서는 블록체인의 기본 원리뿐만 아니라, 이더리움을 사례로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 DApp(decentralized application), DAO(decentralized autonomous organization) 등의 개념을 공부합니다. 이더리움은 모든 것이 연결되는 세상에서 어떻게 ‘완벽하게 분산된 유기적 컴퓨터’를 통해 관계의 혁명을 이룰 수 있는지 보여줍니다. 적용 사례를 중심으로 심도있게 토론하고 본질을 논의하는 시간이 될 것입니다.
*이더리움에 대한 기본 지식이 없어도 참여가 가능합니다. Continue reading
4월의 주제는 ‘테슬라’입니다. 오가닉미디어랩의 여러 글이 테슬라를 다뤄왔는데요, ‘네트워크가 제품’임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이기 때문입니다. 이번 수업에서는 테슬라의 네트워크 구조, 작동 원리와 메커니즘을 총체적으로 이해하고 자신의 비즈니스에 적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테슬라의 전기충전소 네트워크(Supercharger Network)는 전기차와 충전소가 양면 네트워크임을, 플리트 러닝 네트워크(Fleet Learning Network)는 테슬라가 전기차를 만드는 회사가 아니라 전기차의 네트워크를 만드는 회사임 알려줍니다. 그밖에도 고객 추천 인센티브 프로그램(Referral Program) 등은 고객이 영업사원임을, 나아가 Tesla Network(자율 주행 테슬라로 이루어질 ‘우버’와 같은 서비스) 등은 테슬라의 미래를 네트워크 관점에서 극명하게 보여줍니다.
지금까지 저희가 다양한 주제에서 사례로 등장했던 테슬라의 비즈니스 메커니즘을 하나로 엮는 시간, 유기체로서의 테슬라를 파헤치는 시간이 될 것입니다. 많은 분들의 참여 부탁드립니다. Continue reading